우르 제3왕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르 제3왕조는 아카드 제국 멸망 이후 수메르 지역에 등장한 왕조로, 우르-남무에 의해 건국되었다. 슐기 시기에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고 행정, 조세, 달력 등을 표준화했으며, 살아있는 동안 신격화되기도 했다. 우르 제3왕조는 엘람과의 갈등, 자그로스 산맥 지역 부족과의 전쟁을 겪었으며, 기원전 2004년 엘람의 침입으로 멸망했다. 이후 이신-라르사 시대를 거쳐 아모리인들이 바빌론을 건국했다. 우르 제3왕조는 가산제 시스템을 기반으로, 농업과 섬유 산업이 발달했으며, 인더스 문명과 교역을 통해 번성했다. 수메르 문학이 발전했으며, '우르남무 법전'과 같은 법률을 제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우르 제3왕조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우르 제3왕조 |
현지 명칭 | sux: 𒉆𒈗𒋀𒀕𒆠 transl: nam-lugal urim₂KI |
다른 명칭 | 우르 III |
위치 | 수메르 |
수도 | 우르 |
건국 | 기원전 2112년경 |
멸망 | 기원전 2004년경 |
창건자 | 우르남무 |
마지막 통치자 | 이비-신 |
정치 | |
정부 형태 | 군주제 |
주요 칭호 | 우르의 왕 수메르와 아카드 왕 세계 사방의 왕 수메르의 왕 |
역사 | |
이전 | 구티 왕조 |
이후 | 이신 왕조 |
기타 | |
관련 가문 | 우르 제1왕조 |
2. 역사
아카드 제국 멸망 후, 우르-남무가 우르 제3왕조를 건국하였다. 우르-남무는 라가시와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수메르와 아카드의 왕''' 칭호를 얻고, 우르-남무 법전을 제정하여 메소포타미아 최초의 법전을 만들었다. 슐기는 제국의 중앙 집권화와 행정 절차 표준화에 힘썼으며, 행정, 기록, 조세, 달력 등을 표준화하고 우르에 상비군을 배치하는 한편, 살아있는 동안 신격화되기도 했다. 우르 제3왕조는 기원전 2004년 엘람의 침입으로 멸망했고, 이후 바빌로니아는 아모리인의 영향권에 들어갔다.
왕명 | 전통 연표 | 근년 연표 |
---|---|---|
우투-헤갈 | 2119-2113 | 2055-2048 |
우르-남무 | 2112-2095 | 2047-2030 |
슐기 | 2094-2047 | 2029-1982 |
아마르-신 | 2046-2037 | 1981-1973 |
슈-신 | 2037-2027 | 1972-1964 |
이비-신 | 2026-2004? | 1963-1940 |
2. 1. 건국 배경
아카드 제국이 무너진 뒤 얼마 지나지 않아 우르 제3왕조가 시작되었다. 아카드 제국의 마지막 왕인 샤르-카리-샤르리와 우르 제3왕조의 첫 번째 왕인 우르-남무 사이의 기간은 많이 알려져 있지 않지만, 대부분의 아시리아 학자들은 강성한 도시국가들 간의 주도권 다툼이 있었을 것으로 추측한다.
우르 제3왕조가 어떻게 탄생했는지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몇 가지 이론들이 있다.
- 우르-남무가 원래 장군이었으며, 우르크의 왕 우트-헤갈을 대체하며 왕조를 세웠다는 가설이다. 우트-헤갈은 그전에 구티 왕 티리간을 폐위시켰다. 수메르 왕명록에 따르면, 우트-헤갈은 7년 동안 재위하였다.
- 우트-헤갈이 우루크를 다스릴 때, 우르-남무가 그의 사령관이었다는 가설이다. 우르에서 발견된 두 개의 석비에서는 우르-남무의 생애를 말해주고 있다. 학자들은 우르-남무가 우트-헤갈에 반기를 들고, 무력으로 권력을 장악하였을 것으로 추측한다.
- 우르-남무는 우트-헤갈의 가까운 친척이고, 우트-헤갈이 우르-남무에게 통치권을 양도했다는 가설이다. 우르-남무가 우르를 4년간 통치한 후에, 라가시와의 전쟁에서 라가시의 왕을 제거하면서 더욱더 명성을 얻게 된다. 전쟁 이후, 우르-남무는 '''수메르와 아카드의 왕'''이라는 칭호를 얻었다.
어떻게 왕권이 이어졌는지는 불확실하지만, 일부 학자들은 우르-남무가 무력으로 왕위를 찬탈했다는 데에는 반대하고 있다. 우르와 우루크가 단절 없이 계속해서 가까운 관계를 유지했다는 점과 메소포타미아 왕들이 적들을 비난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그러한 증거들이 발견되지 않는다는 것이 그 근거이다.
2. 2. 발전과 멸망
아카드 제국이 무너진 뒤 얼마 지나지 않아 우르 제3왕조가 시작되었다. 아카드 제국의 마지막 왕인 샤르-카리-샤르리와 우르 제3왕조의 첫 번째 왕인 우르-남무 사이의 기간은 사료가 부족하지만, 대부분의 아시리아 학자들은 강성한 도시국가들 간의 주도권 다툼이 있었을 것으로 추측한다.우르 제3왕조의 탄생에 대한 정확한 정황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몇 가지 이론들이 있다. 그중 한 가지는 원래 장군이었던 우르-남무가 왕조를 세웠다는 것이다. 이 가설에 따르면 그는 우르크의 왕 우트-헤갈을 대체하였고, 우트-헤갈은 그전에 구트 왕 티리간도 폐위시켰다. 수메르 왕명록에 따르면 '''우트-헤갈'''은 7년 동안 재위하였다. 다른 가설에서는 우트-헤갈이 우루크를 다스릴 때, 우르-남무가 그의 사령관이었다는 것이다. 우르에서 발견된 두 개의 석판에서는 우르-남무의 생애를 말해주고 있다. 학자들은 우르-남무가 우트-헤갈에 반기를 들고, 무력으로 권력을 장악하였을 것으로 추측한다. 또 다른 가설에서는 우르-남무는 우트-헤갈의 가까운 친척이고, 후자가 통치권을 양도했다는 것이다. 우르-남무가 우르를 4년간 통치한 후에, 라가시와의 전쟁에서 '''라가시'''의 왕을 제거하면서 더욱더 명성을 얻게 된다. 전쟁 이후, '''우르-남무'''가 '''수메르와 아카드의 왕'''이라는 칭호를 얻은 것으로 보인다.
어떻게 왕권이 이어졌는지는 불확실하지만, 일부 학자들은 우르-남무가 무력으로 왕위를 찬탈했다는 데에는 반대하고 있다. 한 가지 근거로는 우르와 우루크가 단절 없이 계속해서 가까운 관계를 유지했다는 점이다. 또한 메소포타미아 왕들은 적들을 비난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그러한 증거들이 발견되지 않는다.
슐기의 통치하에서 제국에 많은 중요한 변화가 일어났다. 그는 제국의 권력을 중앙에 집중시키고, 행정 절차들을 표준화하는 데 힘썼다. 그는 행정 절차, 기록문서, 조세제도, 달력 등을 표준화한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는 우르에 상비군을 배치하였다. 슐기 왕은 살아있는 동안 신격화되는 영예를 누렸다.
기원전 3천년기 마지막 세기, 우르 제3왕조의 왕들은 왕국의 국경 지역에서 여러 차례의 전쟁을 벌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전쟁들은 아카드 왕의 영향으로 발생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왕들이 군대를 어떻게 조직했는지에 대한 증거가 거의 없기 때문에, 방어군이 왕국 내부에 있었는지, 아니면 외부에 있었는지는 불분명하다. 알려진 사실은 왕조의 두 번째 통치자인 슐기가 어느 정도의 확장과 정복을 이루었다는 것이다. 그의 세 명의 후계자들도 이를 이어갔지만, 그들의 정복 활동은 시간이 지날수록 줄어들었다.[6]
우르의 팽창이 절정에 달했을 때, 그들은 동남부 아나톨리아 (현재의 터키)에서 페르시아만의 이란 해안까지 영토를 확장했는데, 이는 왕조의 강력함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우르 제3왕조의 군대가 얼마나 많은 승리를 거두고 전리품을 왕국으로 가져왔는지에 대한 수백 개의 텍스트가 존재한다.
우르 제3왕조의 통치자들은 종종 메소포타미아 북동부에 거주하는 자그로스 산맥 지역의 고지대 부족들과 갈등을 겪었다. 이 부족들 중 가장 중요한 부족은 시무룸과 룰루비 부족 왕국이었다.[7][8] 그들은 또한 종종 엘람과도 갈등을 겪었다.
신수메르의 힘은 쇠퇴하고 있었다. 입비신은 기원전 21세기에 엘람으로 군사 원정을 감행했지만, 그 나라 깊숙이 침투하는 데는 실패했다. 기원전 2004/1940년(각각 중/단기 연대기) 엘람인들은 수사의 사람들과 동맹을 맺고, 엘람 시마슈키 왕조의 왕 킨다투의 지휘하에 우르를 포위할 수 있었고, 우르를 약탈하여[14] 입비신을 포로로 잡아 우르 제3왕조를 멸망시켰다. 이 승리 이후, 엘람인들은 왕국을 파괴하고, 그 후 21년 동안 군사 점령을 통해 통치했다.[15][16]
그 후 메소포타미아는 아모리인의 영향력 아래 놓였다. 이신 왕조의 아모리인 왕들은 우르 제3왕조의 계승 국가를 형성하여 이신-라르사 시대를 시작했다. 그들은 엘람인들을 우르에서 몰아내고 도시를 재건했으며, 엘람인들이 약탈했던 난나의 조각상을 돌려놓았다.
2. 3. 우르 제3왕조 이후
우투-헤갈의 통치 이후, 우르-남무(원래 장군)가 우르 제3왕조를 세웠지만, 그의 즉위와 관련된 정확한 사건은 불분명하다. 수메르 왕 목록은 우투-헤갈이 7년(또는 426년, 또는 다른 사본에서는 26년) 동안 통치했다고 기록하고 있지만, 그에 대한 기록에서 알려진 유일한 연호는 그의 즉위년이므로, 짧은 통치를 시사한다.[3]우르-남무는 라가시의 통치자를 전투에서 격파하고 왕을 죽임으로써 전사-왕으로서 두각을 나타냈다. 이 전투 이후, 우르-남무는 '수메르와 아카드의 왕'이라는 칭호를 얻은 것으로 보인다.
신수메르 제국에 대한 우르의 지배는 유명한 우르-남무 법전으로 굳혀졌다. 이 법전은 수세기 전에 라가시의 우루카기나의 법전 이후 메소포타미아 최초의 법전일 것이다.
술기의 통치하에서 제국에 많은 중요한 변화가 일어났다. 그는 제국의 절차를 중앙 집중화하고 표준화하기 위한 조치를 취했다. 그는 행정 절차, 기록 보존, 세금 제도 및 국가 달력을 표준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수사와 주변 지역을 점령하여 엘람 왕 쿠티크-인슈시나크를 몰아냈고, 나머지 엘람은 시마슈키 왕조의 지배하에 들어갔다.[4]
도시 국가바빌론은 아모리인의 영향 아래 놓였고, 기원전 1830년에 바빌론 제1왕조가 탄생했으며, 기원전 18세기에는 6대 왕 함무라비가 메소포타미아를 다시 통일했다. 한편, 아슈르는 기원전 1813년에 아모리인의 샴시-아다드 1세가 고아시리아 왕국의 에리숨 2세를 꺾고 새 왕으로 즉위했지만, 히타이트의 부상에 밀려났다. 중아시리아 왕국 시대에는, 처음에는 후르리인의 미탄니 왕국 세력권 아래에 놓였지만, 아슈르-우발리트 1세의 치세에 미탄니 왕국의 영향에서 벗어나 바빌로니아를 정복하여 고대 오리엔트의 거대한 세력이 되었다.
2. 4. 왕명표
왕명 | 전통 연표 | 근년 연표 |
---|---|---|
우투-헤갈 | 2119-2113 | 2055-2048 |
우르-남무 | 2112-2095 | 2047-2030 |
슐기 | 2094-2047 | 2029-1982 |
아마르-신 | 2046-2037 | 1981-1973 |
슈-신 | 2037-2027 | 1972-1964 |
이비-신 | 2026-2004? | 1963-1940 |
[13]
우르 제3왕조는 가산제 시스템을 따랐다. 국가는 왕실을 정점으로 하는 계층적 피라미드 형태였으며, 슈타인켈러는 이를 상호 권리와 의무로 연결된 가구 네트워크로 설명했다. 국가의 모든 자원은 왕실 소유였고, 하위 가구는 왕실에 부역 노동을 제공하고 경제적 지원, 토지, 보호를 받았다.[18][19][20]
3. 정치
각 지방의 행정과 경제는 총독(엔시)과 왕을 대표하는 장군(사가나)이 담당했다. 지방세는 발라라는 재분배 센터를 통해 거둬 수도로 운송되었는데, 발라세는 순환 방식으로 운영되어 각 지방이 경제 규모에 따라 정해진 기간 동안 왕국을 지원했다. 세금은 작물, 가축, 토지 등 다양한 형태로 납부되었고,[18][21] 정부는 이를 사원 자금 지원, 빈곤층 식량 배급 등에 사용했다.
니푸르는 메소포타미아의 종교 중심지로, 모든 신들의 주신인 엔릴 신전이 있었다. 왕들은 엔릴 신을 통해 권력의 정당성을 확보했다. 니푸르는 정치, 군사적 지위는 없었지만, "국가적 숭배 중심지"로 여겨져 정복되지 않았고, 수많은 분쟁에서도 살아남았다.[22]
3. 1. 법률
우르 제3왕조의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법전 중 하나인 ''우르남무 법전''을 제정했다는 점이다. 이 법전은 유명한 함무라비 법전과 서문 및 전체적인 구조가 매우 유사하다. 현존하는 사본은 아카드어로 기록되었으며, 니푸르, 시파르, 그리고 우르 자체에서 발견되었다. 비록 서문에서는 우르남무의 업적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저자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 중이며, 일부 학자들은 그의 아들인 슐기가 저자라고 주장한다.[24]
법전의 서문은 1인칭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왕을 자신의 땅에서 정의의 등불로 묘사하고 있는데, 이는 이전의 왕들이 일반적으로 하지 않았던 역할이다. 그는 과부나 고아와 같이, 왕국 내에서 전통적으로 불우한 집단들을 포함한 모든 사람들을 위한 정의를 원한다고 주장한다.
대부분의 법적 분쟁은 '시장'으로 불리는 정부 관리들이 지역적으로 처리했지만, 그들의 결정은 항소될 수 있었고, 결국 지방 총독에 의해 번복될 수도 있었다. 때때로 법적 분쟁은 마을 광장이나 사원 앞에서 증인들을 세운 채 공개적으로 다루어졌다. 그러나 왕을 이 땅의 최고 재판관으로 여기는 이미지가 자리 잡았고, 이 이미지는 많은 문학 작품과 시에 나타난다. 시민들은 때때로 현재 또는 과거의 왕에게 기도하는 편지를 썼다.
4. 사회
우르 제3왕조 시기 사회는 여러 계층으로 구성되었으며, 학자들 간 연구와 분석을 통해 기존에 알려진 것과는 다른 모습들이 밝혀지고 있다.
일반 노동자는 농노로 여겨졌지만, 새로운 분석에 따르면 다양한 집단으로 나뉜다. 일부는 강제로 일했지만, 재산 유지나 식량 확보를 위해 일하는 노동자도 있었다. 자유로운 남녀 노동자는 사회 이동이 가능했고, 가족 단위로 이동하며 사유 재산을 축적하거나 더 높은 지위로 승진하기도 했다.
구분 | 특징 |
---|---|
강제 노동자 | 강제로 노동에 동원됨. |
자발적 노동자 | 재산 유지, 식량 확보 등을 위해 자발적으로 노동. |
자유 노동자 | 사회 이동성이 가능, 사유 재산 축적 및 지위 상승 가능. |
노예는 중요한 노동 집단이었는데, 문서에 따르면 가축 노예의 2/5는 빚이나 가족에 의해 팔려 노예가 되었다. 노예는 생전에 자산과 재산을 축적하여 자유를 얻을 수도 있었으며, 현존하는 문서는 노예와 소유주 간의 자유 거래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5. 경제
우르 제3왕조는 복잡한 관개 시설과 중앙 집중화된 농업을 포함한 대규모 국영 사업을 추진했다. 농업, 특히 관개, 수확, 파종에는 엄청난 노동력이 투입되었다.
당시 우르에서는 직물 산업이 특히 중요했으며, 국가가 직접 운영했다. 남녀노소 가릴 것 없이 양모와 린넨으로 의류를 생산하는 일에 종사했다. 이 시대의 행정 문서들은 놀라울 정도로 중앙 집권화된 체제를 보여주는데, 일부 학자들은 메소포타미아 역사상 이 정도 수준에 도달한 시대는 없었다고 평가하기도 한다.[3]
우르 왕조에게 무역은 제국의 부를 늘리고 백성을 돌보는 중요한 수단이었다. 메소포타미아는 페르시아 만 지역과 금속, 목재, 상아, 반귀석 등의 원자재를 주로 거래했다. 특히 소라고둥 껍데기는 장인들이 3천 년 전 램프와 컵으로 제작했으며, 무덤, 궁궐, 사원, 주거용 집 등에서 발견되었다. 주로 상류층에서 발견되었다는 점은 당시 부유층만이 이러한 사치품을 소유할 수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우르는 보석류, 상감 세공품, 조각품, 원통형 인장 등을 많이 소비했으며, 이는 걸프 지역과의 활발한 무역 관계를 나타낸다.
5. 1. 인더스 문명과의 교역

기원전 2350년경부터 우르로 인더스 문명에서 수입된 증거가 발견된다.[26] 특히 ''Trubinella Pyrum''과 ''Fasciolaria Trapezium''과 같은 인더스 해안의 특징적인 조개 껍질 종으로 만들어진 다양한 물건들이 기원전 2500년에서 2000년경 메소포타미아 고고학 유적지에서 발견되었다.[27] 하라파 문자가 새겨진 여러 인더스 인장이 우르와 바빌론을 포함한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발견되었다.[28][29][30][31] 하라파와 관련되어 있고 종종 인더스 문자를 사용하는 아카드 및 우르 제3왕조 유적에서 약 20개의 인장이 발견되었다.[32]
이러한 교류는 기원전 1900년경 이후 인더스 문명이 쇠퇴하면서 중단되었다.[33]
6. 문화
수메르어는 문화 영역을 지배했으며 법률, 행정 및 경제 문서의 언어였지만, 다른 곳에서는 아카드어의 확산 징후를 볼 수 있었다. 이 시기에 생겨난 새로운 도시들은 사실상 모두 아카드어 이름을 받았다. 문화는 또한 다양한 유형의 신수메르 예술을 통해 번성했다.
6. 1. 문학
수메르 문서는 우르 제3왕조 시대에 대량으로 생산되었다. 그러나 이 시기를 묘사하기 위해 '부흥' 또는 '르네상스'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은 오해의 소지가 있는데, 고고학적 증거는 이전에 쇠퇴했던 시기에 대한 증거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35] 대신, 수메르어는 다른 형태를 띠기 시작했다. 셈어인 아카드어가 일반적인 구어체가 되면서 수메르어는 문학뿐만 아니라 행정 문서에서도 계속해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했다. 정부 관료들은 오직 수메르 문학만을 사용하는 특별한 학교에서 글쓰기를 배웠다.일부 학자들은 우루크의 ''길가메시 서사시''가 이 시기에 고전적인 수메르어 형태로 기록되었다고 믿고 있다. 우르 제3왕조는 우루크의 초기 왕들과의 관계를 맺기 위해 그들의 가족 관계를 주장했다.
예를 들어, 우르 제3왕조의 왕들은 종종 길가메시의 신성한 부모인 닌순과 루갈반다를 자신들의 조상이라고 주장하여 서사시 영웅과의 비교를 이끌어내려 했다.
"우르남무의 죽음"으로 알려진 이 시대의 또 다른 텍스트에는 우르남무가 "그의 형제 길가메시"에게 선물을 쏟아붓는 지하 세계 장면이 포함되어 있다.
6. 2. 예술
수메르 문서는 우르 제3왕조 시대에 대량으로 생산되었다. 그러나 이 시기를 묘사하기 위해 '부흥' 또는 '르네상스'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은 오해의 소지가 있는데, 고고학적 증거는 이전에 쇠퇴했던 시기에 대한 증거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35] 대신, 수메르어는 다른 형태를 띠기 시작했다. 셈어인 아카드어가 일반적인 구어체가 되면서 수메르어는 문학뿐만 아니라 행정 문서에서도 계속해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했다. 정부 관료들은 오직 수메르 문학만을 사용하는 특별한 학교에서 글쓰기를 배웠다.일부 학자들은 우루크의 ''길가메시 서사시''가 이 시기에 고전적인 수메르어 형태로 기록되었다고 믿고 있다. 우르 제3왕조는 우루크의 초기 왕들과의 관계를 맺기 위해 그들의 가족 관계를 주장했다.
예를 들어, 우르 제3왕조의 왕들은 종종 길가메시의 신성한 부모인 닌순과 루갈반다를 자신들의 조상이라고 주장하여 서사시 영웅과의 비교를 이끌어내려 했다.
"우르남무의 죽음"으로 알려진 이 시대의 또 다른 텍스트에는 우르남무가 "그의 형제 길가메시"에게 선물을 쏟아붓는 지하 세계 장면이 포함되어 있다.
참조
[1]
서적
Pre-Sargonic Period: Early Periods, Volume 1 (2700-2350 BC)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8
[2]
서적
Provincial Taxation and the Ur III State
Brill
2004
[3]
웹사이트
Hash-hamer Cylinder seal of Ur-Nammu
https://www.britishm[...]
[4]
웹사이트
Encyclopædia Iranica: Elam - Simashki dynasty
http://www.iranicaon[...]
[5]
서적
Miscellaneous Babylonian inscriptions
https://archive.org/[...]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18
[6]
간행물
The Army of the Kings of Ur: The Textual Evidence
[7]
서적
The Shemshāra Archives 1: The Letters
https://books.google[...]
Kgl. Danske Videnskabernes Selskab
2001
[8]
서적
Old Babylonian Period (2003-1595 BC)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90
[9]
서적
Mesopotamia: Civilization Begins
https://books.google[...]
Getty Publications
2020
[10]
서적
Who's Who in the Ancient Near Eas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2
[11]
서적
Supplément au Dictionnaire de la Bible: TELL HARIRI/MARI: TEXTES
http://pix.archibab.[...]
2008
[12]
서적
A Sumerian reading-book
https://archive.org/[...]
Clarendon Press
1924
[13]
서적
Sumero-Babylonian King Lists and Date Lists
https://eprints.soas[...]
[14]
서적
Abram
http://www.sanityque[...]
Cary Cook
[15]
서적
The Routledge Handbook of the Peoples and Places of Ancient Western Asia: The Near East from the Early Bronze Age to the fall of the Persian Empi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9
[16]
서적
The Archaeology of Elam: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an Ancient Iranian Stat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11-12
[17]
서적
Ur III Period (2112-2004 BC)
Canadian Electronic Library
[18]
서적
The Oxford World History of Empire: Volume Two: The History of Empires
Oxford University Press
2021-03
[19]
간행물
HOW TO "INSTITUTIONALIZE" A HOUSEHOLD IN UR III ĜIRSU/LAGAŠ: THE CASE OF THE HOUSE OF UR-DUN
https://www.jstor.or[...]
2019
[20]
서적
The Growth of an Early State in Mesopotamia: Studies in Ur III Administration
Consejo Superior de Investigaciones Científicas
[21]
서적
The Ancient Near East: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3-12
[22]
간행물
The Sumerian City Nippur in the Period of the Third Dynasty of Ur
[23]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서적
The Archaeology of Elam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25]
간행물
Dynamics of Trade in the Ancient Mesopotamian "World System"
[26]
서적
The Indus-Mesopotamia relationship reconsidered (Gs Elisabeth During Caspers)
https://www.academia[...]
Archaeopress
2008
[27]
간행물
The Role of shell in Mesopotamia : evidence for trade exchange with Oman and the Indus Valley
1984
[28]
웹사이트
Indus stamp-seal found in Ur BM 122187
https://www.britishm[...]
[29]
서적
Seals of Ancient Indian style found at Ur
https://archive.org/[...]
1958
[30]
서적
Brotherhood of Kings: How International Relations Shaped the Ancient Near Eas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1]
서적
Art of the First Cities: The Third Millennium B.C. from the Mediterranean to the Indus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32]
서적
The Ancient Indus Valley: New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ABC-CLIO
2008
[33]
서적
Ancient Near Eastern History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
[34]
웹사이트
Seated figure approached by a goddess leading a worshiper
https://www.metmuseu[...]
[35]
서적
Problems of canonicity and identity formation in ancient Egypt and Mesopotamia
https://www.worldcat[...]
2016
[36]
웹사이트
The Stela of the Flying Angels
https://www.penn.mus[...]
[37]
서적
Cuneiform Texts in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Volume I Tablets Cones and Bricks of the Third Ur Dynasty
http://resources.met[...]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198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